학명 : Vernicia fordii
쥐손이풀목 대극과 일본유동속의 낙엽교목으로 기름오동나무라고도 한다.
전남과 제주에 간혹 식재한 유동나무를 볼 수 있고 꽃이 예뻐서 정원수로 심기도 한다.
중국 중남부, 베트남이 원산으로 같은 속 식물 중에서는 추위에 가장 강하다.
유동(油桐:기름을 얻는 오동)나무는 과거에는 기름을 얻기 위해 전 세계 난대 지역에서 널리 재배했다. 가구에 칠하거나 도료로 사용됐으며 이를 동유(桐油)라고 했다.
(네이버 지식백과 검색)
낙엽교목이며 높이 10m 정도로 자란다.
나무 껌질은 잿빛을 띤 갈색이고 피목이 있으며 굵은 가지가 사방으로 퍼진다.
잎은 어긋나고 잎자루가 길며 길이 12~20cm, 나비 8~16cm로 심장형 또는 원형이다. 잎 끝이 뾰족하고 가장자리는 밋밋하며 처음에는 양면에 황갈색 털이 많으나 나중에는 맥 위에만 남는다. 잎 밑에 대가 없는 2개의 꿀샘(밀선)이 있다.
유동나무는 한 나무에 암수가 각각 꽃을 피우는 자웅동주이다.
꽃잎 5장, 꽃지름 약 2cm.
수꽃은 10개의 수술이 2줄로 배열되고, 암꽃에는 퇴화한 수술과 1개의 씨방, 둘로 갈라진 3개의 암술대가 있다.
씨방은 타원모양이고 갈색 털이 빽빽이 나며 길이 약 4mm이다.
사진은 수꽃, 암꽃은 미처 못 찍었다.
열매는 삭과로 지름 3~4.5cm의 구형으로 끝이 돌기처럼 뽀족하며 3개의 종자가 들어 있다.
9월까지 점차 붉은 갈색으로 익어가며 검은 종자에는 독이 있다.
종자에서 짜낸 기름을 동유(桐油, tung oil)라고 해서 각종 도료나 인쇄잉크로 쓰였다고 한다.
지금은 기름이나 약재보다 꽃이 예뻐 원예종으로 간혹 식재하나 아직은 따뜻한 남부지방에서 볼 수 있다.
씨앗을 심으면 잘 나고 자란다.
유사종으로 일본유동이 있는데 잎이나 꽃 모양이 비슷하나 열매 모양이 편구형이고 유동열매보다 작은 것으로 구별한다.
'들꽃 산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창포, 석창포는 천남성과 / 꽃창포, 노랑꽃창포, 붓꽃은 붓꽃과 (2) | 2024.09.09 |
---|---|
제주 자생난초 : 한라새둥지란[Neottia kiusiana T.Hashim. & Hatus.][Neottia hypocastanoptica] (0) | 2024.07.09 |
제주자생난초 : 두잎감자난초(Oreorchis patens (Lindl.) Lindl. subsp. coreana (Finet) Y.N.Lee) (0) | 2024.07.06 |
제주 자생 난초 : 나도제비란 / 흰나도제비란 (0) | 2024.06.15 |
국생종에 기재된 한국 자생난초 103종 정리 / 난초 이름 정명('-난초'와 '-란') /제주 자생난초 64종/ 멸종위기 난초 42종 (1) | 2024.06.10 |
제주의 들꽃 : 1월에 보는 세복수초 변산바람꽃 흰털괭이눈 갯국 애기석잠풀 둥근빗살괴불주머니 제주고사리삼 등 (0) | 2024.02.03 |
탐라큰개별꽃은 큰개별꽃의 이명으로 국가생물종 지식정보에 등록 (2) | 2023.04.03 |
개불알풀 종류 다섯(큰개불알풀, 개불알풀, 눈개불알풀, 선개불알풀, 좀개불알풀) 꽃 사진과 이름 유래된 큰개불알풀 열매 사진 (0) | 2023.03.1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