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이런 게 궁금해요109 운전 중 핸드폰 사용 적발 시 15점의 벌점과 6만원 범칙금 부과 제 차에 장착된 내비게이션 업데이트를 안 했더니 내비게이션 역할을 못하고 있어서 가끔 지도 앱을 이용하고 있습니다. 게다가 T맵 안전점수가 필요해서 앞으로 6개월간은 주행 중에 T맵을 켜 놔야 할 것 같은데 제 차에 핸드폰 거치대가 없어요. 아주 잠깐씩 지도 확인하는데 거치대까지 설치해야 하나 귀찮은 생각에 미루고 있었습니다. 아무라 순간이지만 시선을 돌리는 게 위험하다는 생각을 가끔 하면서도 말이죠. 얼마 전에는 동승한 지인과 동생이 주행 중 핸드폰 사용하다가 벌금 물었다며 조심하라고 통화한 걸 들었습니다. 저도 단속 카메라를 지날 때는 핸드폰 든 손을 아래로 내려 핸드폰이 보이지 않게 하는데요, 그건 언젠가 동승 운전자가 통화하다가 카메라 보이니까 걸린다면서 손을 내리는 걸 보고 이후 저도 그렇게 .. 2025. 3. 21. 황열(국립검역소 인용) /황열 예방접종 시 필요한 것 / 황열 예방접종 권고국가 / 황열 예방접종증명서 요구국가 / 국제공인 예방접종 기관 올해 6월에 패키지로 가는 아프리카 여행을 예약했는데 여행사에서 황열 예방접종을 해야 한다네요. 황열은 남미와 아프리카 지역에 발생하는 전염병인데 아프리카 일부 국가에서 접종 증명서를 제시해야만 입국이 가능하다고 해서 황열에 대해 자세히 알아봤습니다.몇 군데 검색하다가 아무래도 질병관리청의 국립검역소가 제일 정확한 정보를 게시할 것 같아 누리집에 들어가 보니 황열에 대한 궁금증을 풀 수 있게 잘 정리되어 있습니다. 그래서 국립검역소의 황열 콘텐츠를 그대로 옮겨 적습니다. 참고로 제가 검색하다 보니 의외로 남미여행 가시는 분들이 황열 접종에 대해 질문을 많이 했더군요. 작년 남미 여행에서는 황열 예방접종을 하지 않았는데 밀림지역을 들어가지 않으면 황열을 걱정할 것 없다고 하네요. 제가 간 나라가 페루, 볼.. 2025. 3. 18. 서울 도심의 홍릉시험림(홍릉숲)은 식물 학습장 : 다양한 나무와 고산식물, 약초를 이름표 보고 익혀봐요 서울시 동대문구 회기동에 있는 홍릉숲은 서울 도심에 있는 작은 숲입니다. 제가 홍릉숲 주변에 살 때에는 홍릉수목원이라 해서 자주 드나들었던 작은 숲으로 기억하는데, 지금은 국립산림과학원이 들어섰네요. 예전처럼 아무 때나 드나들 수 있는 곳은 아니지만, 평일의 무료 숲해설 프로그램도 있고 주말에는 연중 무료 개방하니 가끔 들러도 좋을 것 같습니다. 무엇보다 식물연구원이 있어 보기 드문 나무와 약초, 고산의 식물 등에 이름표가 있어 쉽게 볼 수 없는 식물을 도심에서 볼 수 있다는 점에서 적극 추천합니다. 국립산림과학원 (홍릉시험림, 홍릉숲)국립산림과학원의 누리집에 들어가 살펴봅니다. 산림과학원은 산림청 직속의 국립연구기관으로 산림과학 지식 및 기술의 개발과 보급을 위해 설립되었다고 하네요.아래는 누리집.. 2025. 3. 17. 북한산국립공원 등산용품 무료 대여서비스, 예약 없이 현장 신청 / 수령 가능 2월 말에 북한산성 탐방지원센터를 출발점으로 하여 국녕사를 거쳐 의상봉 능선 일부 산행하고 원점회귀했습니다. 북한산성 탐방지원센터를 지나는데 문득 "풀옵션 안전장비 무료 대여서비스"라고 쓰인 입간판이 보이더군요.처음 보는 거라 지원센터 직원에게 이런저런 궁금증을 물어봤습니다.저처럼 지방에서 올라간 등산객에게 특히 겨울철의 스틱과 아이젠, 핫팩은 참 유용할 것 같습니다. 대중교통을 이용해서 이동하는 저는 집에서부터 준비하기엔 애매한 것들이라 이번에도 준비 없이 북한산에 갔거든요.그래서 직원에게 들은 것과 뉴스에 나온 기사를 정리해서 '북한산국립공원 등산장비 무료대여서비스'를 작성해 봅니다. 북한산국립공원 안전산행 위해 무료 대여서비스 실시북한산, 도봉산을 포함한 북한산국립공원은 서울과 의정부, 고양시,.. 2025. 3. 15. 이전 1 2 3 4 ··· 28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