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이런 게 궁금해요109 농산물 '이삭줍기' 가 범죄?! 각박한 사회의 한 면을 보여주는 현상 연배가 있는 분들은 '이삭 줍기'라면 보리이삭이나 벼이삭 줍던 어린 시절을 떠올리는 분도 계시겠네요. 말 그대로 추수 끝난 밭이나 논바닥에 떨어진 이삭을 주우러 다니던 시절, 80년대까지도 이삭 줍기로 배고픔을 달래던 가난한 소작인이나 날품팔이가 많았으니까요. 가난한 이들을 위해 부자들이 싹싹 긁어가지 않고 일부러 남겼다는 얘기도 전해오죠. 이삭 줍기는 일반적인 것이고 우리의 풍습이기도 했다는 것입니다. 이삭 줍기와는 다른 형태지만 지금으로 치면 진짜 '절도'였던 '서리'도 어느 정도는 웃고 넘기던 시절이었죠. 모두 '우리 애들 입'으로 들어가는 거였으니까요. 지금은 벼, 보리는 이삭 줍기 할 수 없는 시대가 됐더군요. 콤바인으로 알맹이까지 포장하는 시대라 이삭 줍기도 안 되지만 주울 사람도 없죠. 지금.. 2025. 2. 10. 내가 버린 헌 옷 수거함의 옷은 어디로 갈까. 기부는 착각, 저소득국가에 쓰레기로 수출 헌 옷 수거함의 옷이 어디로 가는지 궁금해 본 적 있나요. 우리는 철이 바뀔 때마다 옷 정리를 합니다. 사계절이 순환하는 우리나라에는 철마다 입어야 할 옷이 달라 사기도 많이 하고 버리기도 많이 하죠.저도 이번 겨울에 두꺼운 외투를 몇 개나 내놨습니다. 추운 서울에서는 대중교통으로 이동하니 꼭 필요했던 옷들이 따뜻한 남쪽 지방에서 주로 자가용으로 이동하니 입을 틈 없이 겨울이 지나가 버리곤 하여 한 번도 입지 못하고 10년 이상 모셔뒀다가 드디어 결단 내려 동네 옷 수거함에 넣었습니다. 여기에 넣으면 누군가 필요한 사람에게 싼 가격으로 팔리든가 일부는 옷이 필요한 사람에게 기부도 될 것이고 해외에 중고의류로 수출될 것이니 좋은 일하는 거라며 기꺼운 마음으로 말이죠.그런데 그게 아니라네요. 내가 내놓은 멀.. 2025. 1. 6. 모바일 주민등록증 발급 과정은 두 가지 / 모바일 신분증 검증 앱으로 위.변조 확인 모바일 운전면허증은 2022년 7월부터 발급하기 시작했는데 2024년 현재 400만 명이 발급받았다고 한다. 신규발급자나 재발급자가 모바일 신분증으로 받아서일 것이다. 이 제도가 있다는 것은 알았지만 평소 신분증을 사용할 일이 거의 없어서 관심 없다가 얼마 전 병원 갈 일 있었을 때 평소 소지하던 운전면허증이 안 보여 여권 사진 찍어뒀던 걸로 진료받을 수 있었다. 그걸 기회로 모바일 운전면허증 받을까 했는데 2025년에 모바일 주민등록증을 순차적으로 발급한다니 주민등록증을 먼저 받으려고 발급절차에 대해 알아보았다. 모바일 주민등록증이란?모바일 주민등록증이란 본인 휴대전화에 암호화하여 설치된 주민등록증으로 온·오프라인에서 사용할 수 있는 디지털 형태의 주민등록증이다. 주민등록법 제24조의2에 따라 실물 주.. 2025. 1. 4. 2025년 공공 일자리 110만 개! 노인 일자리 참여 자격, 신청 기간, 신청 방법 우리나라는 2024년 7월 현재 65세 이상 노인이 19.5%로 초고령화 사회를 앞두고 있는데요, 연말에는 20%를 넘어 진입하게 될 것입니다. 노령 인구가 이렇게 많지만 65세 이상 노인들 중 일정 수준의 연금을 받거나 재산이 많아 노후가 여유로운 노인은 소수에 불과하죠. 2022년 연금통계에 보면 65살 이상의 월평균 연금액은 65만 원, 수급자 중 60%가 월 수급액이 50만 원 미만으로 나왔습니다.그러니 대부분은 60세 정년 이후에 다시 새로운 일자리를 찾기 위해 기웃거리는 분들이 많습니다만 현실은 막막합니다. 현재 70대의 취업률이 30%가 넘는다니 60대는 얼마나 많은 이들이 취업하거나 취업을 원하고 있는지 짐작할 수 있겠습니다.이런 시대의 흐름을 반영하여 2025년에는 국가에서 '노인들을 위.. 2024. 12. 4. 이전 1 2 3 4 5 ··· 28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