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23

밀양 (공립)도래재자연휴양림 휴양관 이용 / 리조트형 휴양림 / 장애인실 배정 /요가 체험센터 / 천황산 등산코스는 수시점검 필요 영남알프스의 하나인 천황산을 등산하려고 예약한 도래재휴양림 휴양관에서 1박 한 후기이다.가파른 산사면을 깎아 조성한 도래재휴양림과 휴양림 내 등산로는 위험요소가 많아 악천후 후엔 꼭 점검·관리가 필요한 곳임을 강조하고 싶다.  도래재휴양림은 리조트형 휴양림 밀양시에서 조성한 도래재자연휴양림은 2022년 7월에 개장한 신생 휴양림인만큼 전체적으로 깔끔하고 도시적인 분위기의 색다른 휴양림이다.숲 속에 있는 휴양림이 아니라 도래재 고갯마루 넘은 길가에 인접하여 조성된 곳으로 흔히 생각하는 숲 속 휴양림과는 다른 리조트나 펜션이 연상되는 외양이었다.영남알프스인 천황산, 가지산을 끼고도 휴양림이 없는 밀양시가 천황산이나 재약산 억새밭 등산객을 겨냥해서 만든 듯한 작은 리조트형 휴양림으로 천황산 아랫자락 협소한 사.. 2024. 6. 22.
국립신불산폭포자연휴양림 상단지구 숲속의 집 이용 후기, 우리나라에서 가장 느리게 걸어가는 휴양림 신불산자연휴양림은 독특하게 상단지구와 하단지구로 나뉘어 있는데 계곡 상류의 상단지구는 차량이 못 가고 계곡길을 1.7km 걸어가야 해서 숙박할 짐을 가지고 걷기에는 조금 힘들 수 있다. 그걸 모르고 예약해서 짐 때문에 좀 고생했지만 깊은 숲 속 통나무집에서 고즈넉한 2박을 보낸 얘기를 여기 풀어본다.  숲 속의 집 (1시간 걸어가는) 상단  3호실 예약숲나들이에서 신불산휴양림을 예약할 때 예약창에 '휴양관 하단 1관 단풍나무' '숲속의 집(1시간 걸어가는) 상단 3호실' '[야영데크] 걸어가는 상단 백패킹 야영데크(202)' 이런 식으로 나와서 하단과 상단? 상단은 산 높은 곳에 있는 휴양림인가 보다, 높고 깊은 숲이라면 더 좋지. 검색도 안 해보고 상단의 숲속의 집을 2박 예약했다. 입실 일주일 전에 .. 2024. 6. 22.
국립운문산자연휴양림 산림문화휴양관 / 영남알프스 9봉 2024년 4월 초 4자매가 영남알프스 구경가자고 나섰다. 영남알프스는 가을 억새가 유명한 지역이라 가을에 가야 하지만 가을엔 너무도 많은 사람들이 모여드는 곳이기도 하다. 억새는 다른 지역에서도 볼 수 있으니 영남알프스 한 번도 안 가 본 첫째와 둘째 영남알프스 구경하라고 한갓진 4월 초에 영남으로 떠났다.이번 여행은 4박 5일. 영남알프스 서너 개 산을 오르는 것이라 완등은 못 하지만 거의 기억에 없는 영남 지방을 구경하는데 의의를 둔 여행이었다.영남알프스에 대해 간단히 알아보고 우리가 머문 3개의 휴양림 중 첫 번째의 국립운문산자연휴양림을 소개한다.  영남알프스란?영남 동남부 지역의 경남 밀양시, 경주시, 양산시, 청도군, 울산광역시 울주군  5개 행정구역에 걸쳐 산맥을 이루는 9개 산을 말하는데 .. 2024. 6. 19.
제주 자생 난초 : 나도제비란 / 흰나도제비란 학명 : Orchis cyclochila (Franch. & Sav.) Soo분류 : 난초과 (Orchidaceae), 난초 속(Orchis)분포 : 한국(인제군, 평창군, 구례군, 한라산), 일본, 중국, 러시아개화 시기 : 5~9월생육 환경 : 습기가 많은 깊은 산지 나무 그늘에서 자란다. 유사종 : 흰나도제비란, 꽃이 흰색이다. (이하, 국가생물종지식정보 인용)  줄기는 높이 7~17cm, 각진 형태로 털이 없고 밑부분에 1개의 잎이 달린다.잎은 타원형으로 1개이며 뿌리에서 나고 짧은 자루가 있다.  꽃은 보통 줄기 끝에 2개씩 달리며 꽃 밑에 좁고 긴 잎모양의 포가 있다.꽃받침 조각은 넓은 피침형으로 3개의 맥이 있고, 꽃잎 역시 피침형으로 꽃받침보다 약간 짧다. 순판(입술모양 꽃부리)은 넓은 달.. 2024. 6. 1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