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87

몽골에서 보는 한반도 자생식물 3편 (몽골식물도감 No.201~No.300) 국립수목원 게시판에 실린 몽골식물도감 e-book에서 한반도에 자생하는 식물 359종을 캡처하여 모아놓은 것입니다.  양이 많아 모두 4편으로 작성했습니다. 한-몽골 공동연구팀의 총괄책임자이신 최혁재 교수님(창원대 생물학화학융합학부)께서 몽골식물도감 간행물을 보내주셔서 양쪽을 확인하면서 정리하니 쉽게 할 수 있었습니다. 감사드립니다. ILLUSTRATED FLORA OF MONGOLIA(몽골식물도감)산림청 국립수목원은 동아시아생물다양성보전네크워크(EABCN)와의 협력 사업으로 2015년부터 수행해 온 몽골식물조사 결과가 담긴 '몽골식물도감'을 2023년에 발간했습니다.몽골식물도감은 몽골에 자생하는 1,159종의 몽골 자생식물의 형태적 특징과 사진, 분포지 정보를 싣고 있는데 수록된 사진과 형태적 정보는 .. 2025. 2. 2.
몽골에서 보는 한반도 자생식물 2편 (몽골식물도감 No.101~No.200) 국립수목원 게시판에 실린 몽골식물도감 e-book에서 한반도에 자생하는 식물 359종을 캡처하여 모아놓은 것입니다.  한-몽골 공동연구팀의 총괄책임자이신 최혁재 교수님(창원대 생물학화학융합학부)께서 몽골식물도감 간행물을 보내주셔서 양쪽을 확인하면서 정리하니 쉽게 할 수 있었습니다. 감사드립니다. ILLUSTRATED FLORA OF MONGOLIA(몽골식물도감)산림청 국립수목원은 동아시아생물다양성보전네크워크(EABCN)와의 협력 사업으로 2015년부터 수행해 온 몽골식물조사 결과가 담긴 '몽골식물도감'을 2023년에 발간했습니다.몽골식물도감은 몽골에 자생하는 1,159종의 몽골 자생식물의 형태적 특징과 사진, 분포지 정보를 싣고 있는데 수록된 사진과 형태적 정보는 국립식목원, 창원대학교 등 한국연구팀과 .. 2025. 1. 27.
몽골에서 보는 한반도 자생식물 1편 (몽골식물도감 No.1 ~No.100) 몽골의 짧은 여름에 우르르 피어나는 수많은 들꽃을 보면 우리나라에서 보는 들꽃과 비슷한 꽃들이 아주 많습니다. 형태학적으로 따지면 다른 꽃이겠지만 한눈에 봐서는 익숙한 꽃들입니다. 세 번의 몽골 여행에서 만난 야생화를 비슷한 우리 꽃이름 붙여 포스팅하기도 했지만 비슷한 꽃이름으로 적은 것 같습니다.몇 년 전 몽골식물도감 e-book이 국립수목원에 게시됐다는 걸 알고 다운로드 받기는 했지만 그 양이 방대하다 보니 전부 보기에도 벅찼습니다. 그런데 한-몽골 공동연구팀의 총괄책임자이신 최혁재 교수님(창원대 생물학화학융합학부)께서 제 블로그 보시고 몽골식물도감 간행물을 보내주셨습니다.그 책을 받아보니 다음에 몽골여행할 때 참고할 겸 제 사진을 정리해 볼까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러다 이왕 하는 것 도감에 실.. 2025. 1. 21.
아기쌍잎난초 : 국내 난초 중 가장 작은 난초 아기쌍잎난초(애기쌍잎난초)는 한라산 700~800m 수림지대에서 발견된 아주 작은 난초인데 미기록식물로 아직 기재문을 찾을 수가 없다.  '국립생물자원관의 한반도의 생물다양성' 사이트에서 '아기쌍잎난초'를 검색하면 다른 사항은 보이지 않고 '문헌출처'를 클릭하면 아래 사항을 볼 수 있다.학명 Neottia japonica (Blume) Szlach. 난초과 새둥지란속 Orchidaceae > Neottia >  Neottia japonica한국 미기록식물 : 2013년 한국식물분류학회지 43(3), 161-164 발표발표자 : 소지현, 정미숙, 정영순, 이남숙  국가생물종지식시스템에는 보이지 않고 국가표준식물목록에는 영문 Baby twin-leaf twayblade (추천명)한국 국가적색목록(Redlis.. 2025. 1. 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