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월 말에 북한산성 탐방지원센터를 출발점으로 하여 국녕사를 거쳐 의상봉 능선 일부 산행하고 원점회귀했습니다. 북한산성 탐방지원센터를 지나는데 문득 "풀옵션 안전장비 무료 대여서비스"라고 쓰인 입간판이 보이더군요.
처음 보는 거라 지원센터 직원에게 이런저런 궁금증을 물어봤습니다.
저처럼 지방에서 올라간 등산객에게 특히 겨울철의 스틱과 아이젠, 핫팩은 참 유용할 것 같습니다. 대중교통을 이용해서 이동하는 저는 집에서부터 준비하기엔 애매한 것들이라 이번에도 준비 없이 북한산에 갔거든요.
그래서 직원에게 들은 것과 뉴스에 나온 기사를 정리해서 '북한산국립공원 등산장비 무료대여서비스'를 작성해 봅니다.

북한산국립공원 안전산행 위해 무료 대여서비스 실시
북한산, 도봉산을 포함한 북한산국립공원은 서울과 의정부, 고양시, 양주시를 아우르는 넓은 영역으로 수도권 사람들의 쉼터이자 한국인의 대표 명산인데, 이제는 한국을 방문하는 외국인들도 많이 찾는 관광명소가 되었습니다.
접근성이 좋아 많은 사람들이 산책 삼아 가볍게 찾다보니 안전사고도 빈번해서 국립공원 측에서 안전장비를 대여하게 됐다고 합니다.
무료 대여서비는 2021년부터 시작했고, 2023년 10월부터는 외국인 탐방객까지 확대하여 대여하고 있습니다.
서비스 이용 방법
안전장비 대여장소 방문(예약이 안 됨) → 대여신청서 작성(신분증 제시) → 장비 대여 전 안내 사항 확인 → 필요 안전장비 선택 → (탐방 전) 반납장소, 시간 숙지 → (탐방 후) 대여 안전장비 반납
안정장비 대여 품목
풀옵션 안전배낭 9종 : 등산화, 배낭, 스틱, 무릎보호대, 방석, 응급키트, 안내지도, 스마트워치, 아이젠
개별 대여 품목 : 등산화, 배낭, 스틱, 무릎보호대, 응급키트, 스마트워치, 아이젠
대여 및 반납 장소(대여한 센터에 반납해야함)
도봉탐방지원센터 02-954-2565
회룡탐방지원센터 031-872-5436
오봉탐방지원센터 031-876-5721
북한산성탐방지원센터 02-356-6198
참고 : 북한산성센터 직원의 말에 따르면 등산화는 도봉분소(02-954-2566)와 북한산성센터에서만 대여 가능하다고 한다.
각 사이즈 당 두 켤레씩 있어 꼭 전화로 확인해야 한다 (25.2.26 현재).
그리고, 전화로 물품 확인했어도 먼저 현장 픽업 한 사람이 우선권이 있어 막상 센터에 가서 허탕 칠 수 있다는 점이다.
대여 시간 09시~ 14시 / 반납 시간 09시~17시
특히, 겨울철에 산행 준비 없이 서울 갔는데 갑자기 북한산 산행이 하고 싶을 때, 아이젠이나 스틱 걱정 없이 대여서비스 이용하면 될 것 같습니다. 여러분도 혹시 그런 상황에 처하면 북한산국립공원의 무료 대여서비스 이용해 보시길 바랍니다.
'이런 게 궁금해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운전 중 핸드폰 사용 적발 시 15점의 벌점과 6만원 범칙금 부과 (1) | 2025.03.21 |
---|---|
황열(국립검역소 인용) /황열 예방접종 시 필요한 것 / 황열 예방접종 권고국가 / 황열 예방접종증명서 요구국가 / 국제공인 예방접종 기관 (0) | 2025.03.18 |
서울 도심의 홍릉시험림(홍릉숲)은 식물 학습장 : 다양한 나무와 고산식물, 약초를 이름표 보고 익혀봐요 (3) | 2025.03.17 |
농산물 '이삭줍기' 가 범죄?! 각박한 사회의 한 면을 보여주는 현상 (1) | 2025.02.10 |
내가 버린 헌 옷 수거함의 옷은 어디로 갈까. 기부는 착각, 저소득국가에 쓰레기로 수출 (0) | 2025.01.06 |
모바일 주민등록증 발급 과정은 두 가지 / 모바일 신분증 검증 앱으로 위.변조 확인 (2) | 2025.01.04 |
2025년 공공 일자리 110만 개! 노인 일자리 참여 자격, 신청 기간, 신청 방법 (5) | 2024.12.04 |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 / 국가표준식물목록 / 국가생물종목록을 통합하면 안 될까요? (3) | 2024.11.2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