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123

밀양 (공립)도래재자연휴양림 휴양관 이용 / 리조트형 휴양림 / 장애인실 배정 /요가 체험센터 / 천황산 등산코스는 수시점검 필요 영남알프스의 하나인 천황산을 등산하려고 예약한 도래재휴양림 휴양관에서 1박 한 후기이다.가파른 산사면을 깎아 조성한 도래재휴양림과 휴양림 내 등산로는 위험요소가 많아 악천후 후엔 꼭 점검·관리가 필요한 곳임을 강조하고 싶다.  도래재휴양림은 리조트형 휴양림 밀양시에서 조성한 도래재자연휴양림은 2022년 7월에 개장한 신생 휴양림인만큼 전체적으로 깔끔하고 도시적인 분위기의 색다른 휴양림이다.숲 속에 있는 휴양림이 아니라 도래재 고갯마루 넘은 길가에 인접하여 조성된 곳으로 흔히 생각하는 숲 속 휴양림과는 다른 리조트나 펜션이 연상되는 외양이었다.영남알프스인 천황산, 가지산을 끼고도 휴양림이 없는 밀양시가 천황산이나 재약산 억새밭 등산객을 겨냥해서 만든 듯한 작은 리조트형 휴양림으로 천황산 아랫자락 협소한 사.. 2024. 6. 22.
국립신불산폭포자연휴양림 상단지구 숲속의 집 이용 후기, 우리나라에서 가장 느리게 걸어가는 휴양림 신불산자연휴양림은 독특하게 상단지구와 하단지구로 나뉘어 있는데 계곡 상류의 상단지구는 차량이 못 가고 계곡길을 1.7km 걸어가야 해서 숙박할 짐을 가지고 걷기에는 조금 힘들 수 있다. 그걸 모르고 예약해서 짐 때문에 좀 고생했지만 깊은 숲 속 통나무집에서 고즈넉한 2박을 보낸 얘기를 여기 풀어본다.  숲 속의 집 (1시간 걸어가는) 상단  3호실 예약숲나들이에서 신불산휴양림을 예약할 때 예약창에 '휴양관 하단 1관 단풍나무' '숲속의 집(1시간 걸어가는) 상단 3호실' '[야영데크] 걸어가는 상단 백패킹 야영데크(202)' 이런 식으로 나와서 하단과 상단? 상단은 산 높은 곳에 있는 휴양림인가 보다, 높고 깊은 숲이라면 더 좋지. 검색도 안 해보고 상단의 숲속의 집을 2박 예약했다. 입실 일주일 전에 .. 2024. 6. 22.
국립운문산자연휴양림 산림문화휴양관 / 영남알프스 9봉 2024년 4월 초 4자매가 영남알프스 구경가자고 나섰다. 영남알프스는 가을 억새가 유명한 지역이라 가을에 가야 하지만 가을엔 너무도 많은 사람들이 모여드는 곳이기도 하다. 억새는 다른 지역에서도 볼 수 있으니 영남알프스 한 번도 안 가 본 첫째와 둘째 영남알프스 구경하라고 한갓진 4월 초에 영남으로 떠났다.이번 여행은 4박 5일. 영남알프스 서너 개 산을 오르는 것이라 완등은 못 하지만 거의 기억에 없는 영남 지방을 구경하는데 의의를 둔 여행이었다.영남알프스에 대해 간단히 알아보고 우리가 머문 3개의 휴양림 중 첫 번째의 국립운문산자연휴양림을 소개한다.  영남알프스란?영남 동남부 지역의 경남 밀양시, 경주시, 양산시, 청도군, 울산광역시 울주군  5개 행정구역에 걸쳐 산맥을 이루는 9개 산을 말하는데 .. 2024. 6. 19.
제주 자생 난초 : 나도제비란 / 흰나도제비란 학명 : Orchis cyclochila (Franch. & Sav.) Soo분류 : 난초과 (Orchidaceae), 난초 속(Orchis)분포 : 한국(인제군, 평창군, 구례군, 한라산), 일본, 중국, 러시아개화 시기 : 5~9월생육 환경 : 습기가 많은 깊은 산지 나무 그늘에서 자란다. 유사종 : 흰나도제비란, 꽃이 흰색이다. (이하, 국가생물종지식정보 인용)  줄기는 높이 7~17cm, 각진 형태로 털이 없고 밑부분에 1개의 잎이 달린다.잎은 타원형으로 1개이며 뿌리에서 나고 짧은 자루가 있다.  꽃은 보통 줄기 끝에 2개씩 달리며 꽃 밑에 좁고 긴 잎모양의 포가 있다.꽃받침 조각은 넓은 피침형으로 3개의 맥이 있고, 꽃잎 역시 피침형으로 꽃받침보다 약간 짧다. 순판(입술모양 꽃부리)은 넓은 달.. 2024. 6. 15.
국생종에 기재된 한국 자생난초 103종 정리 / 난초 이름 정명('-난초'와 '-란') /제주 자생난초 64종/ 멸종위기 난초 42종 난초를 포스팅할 때는 꼭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국생종)에서 정확한 이름, 국명(정명)을 확인해야 합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부르는 대로 적다 보면 정명이 아니라 비추천명(이명)이란 걸 뒤늦게 알게 되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면 제가 새우난초를 몇 년 동안 포스팅하면서 '새우란'이라고 적었습니다. 대부분 새우란, 금새우란, 여름새우란 이렇게 말하거든요. 저도 국생종을 자주 봐서 새우난초가 정명인 건 알고 있었지만 별다른 생각 없이 새우란이라고, 다들 그렇게 부르니 나도 불러야지 한 거죠.그런데 다른 난초들을 포스팅하면서 보니 난초? 란? 어떤 이름은 '난초'가 붙고 어떤 이름은 '란'이 붙습니다.규정대로 불러야지 부르기 쉽다고 막 붙여서는 안 될 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그래서 국생종의 난초 국명을 모두 .. 2024. 6. 10.
파크골프 입문자들의 잘못된 자세 6가지와 교정 방법 일주일에 한두 번 파크골프 치러 가는데 뭔가 자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특히 티샷을 할 때 불안정하여 원하는 방향이나 거리로 보내는 것이 잘 안 되는데 이대로 계속 치면 굳어 버릴 것이다. 실제 같이 친 여러 사람에게 몇 가지 지적을 받아 고쳐보려 했지만 그때뿐, 다음 연습엔 다시 잘못을 반복하곤 한다. 제대로 교육을 안 받고 검색 한 번 안 하고 바로 시작했기에 그냥 공 맞추면 되는 식으로 진행하고 있어 뭐가 잘못됐는지를 아는 지금이 정확한 교정을 하는 시기라 생각되어 검색해 봤다. 마침 유튜브에 내 잘못된 자세를 지적한 영상이 있어 글로 정리해 봤다. 많은 동영상 정보가 있지만 글로 정리한 것이 눈에 쉽게 들어오고 짧은 시간에 여러 번 반복해서 볼 수 있어 [파크골프 잘못된 자세 여섯 가지]와 그.. 2024. 6. 6.
남부와 제주에만 자란다는 유동나무(제주) 학명 : Vernicia fordii 쥐손이풀목 대극과 일본유동속의 낙엽교목으로 기름오동나무라고도 한다.전남과 제주에 간혹 식재한 유동나무를 볼 수 있고 꽃이 예뻐서 정원수로 심기도 한다. 중국 중남부, 베트남이 원산으로 같은 속 식물 중에서는 추위에 가장 강하다. 유동(油桐:기름을 얻는 오동)나무는 과거에는 기름을 얻기 위해 전 세계 난대 지역에서 널리 재배했다. 가구에 칠하거나 도료로 사용됐으며 이를 동유(桐油)라고 했다.(네이버 지식백과 검색)   낙엽교목이며 높이 10m 정도로 자란다.   나무 껌질은 잿빛을 띤 갈색이고 피목이 있으며 굵은 가지가 사방으로 퍼진다.   잎은 어긋나고 잎자루가 길며 길이 12~20cm, 나비 8~16cm로 심장형 또는 원형이다. 잎 끝이 뾰족하고 가장자리는 밋밋하며.. 2024. 6. 2.
제주 맨발 걷기 좋은 곳 / 제주 화산송이 맨발 걷기 / 송이길 비자림 탐방로 2.2km 맨발 걷기 / 비 오는 날 제주 관광지 전국적으로 맨발 걷기가 유행이라 할만치 성행하고 있습니다. 건강에 신경 쓰는 중년, 노년 인구가 많아서이기도 하고, 핸드폰이 필수품이 된 세상이라 SNS를 통해서 맨발 걷기에 대한 정보를 쉽게 접하게 된 까닭이기도 할 겁니다. 게다가 지자체에선 지역 유권자의 표심을 끌기 위해 지역 내에 맨발 걷기 공간을 앞다투어 만들고 있어 맨발 걷기에 대한 관심이 높아질 수밖에 없습니다.제주에는 은퇴 이후에 장기 이주한 노년들과 순전히 걷기를 위해 오는 중·노년들이 많이 있습니다. 이들 역시 맨발걷기에 관심이 많죠. 제주에는 맨발 걷기에 좋은 숲길이 많이 있지만 그중에서도 특히 우리 몸에 좋다는 화산송이가 탐방로에 깔려 있는 비자림을 추천하고 싶습니다.  삼림욕과 산책에 좋은 비자림 비자림은 제주 동쪽 구좌읍 평대리에.. 2024. 6. 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