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오블완22 한라산 예약 없이 오를 수 있어요. 11.27~12.27 한 달 동안 한라산 설경 보러 오세요. 오늘 서울에는 첫눈이 내려 20cm나 쌓였다죠?한라산에도 눈 내렸을까. 첫눈 보러 가려고 한라산국립공원 홈페이지에 들어가 보니 전 코스가 '기상악화에 따른 전면통제'입니다. 첫눈에 대설주의보가 내려졌네요. 서귀포 시내는 지금 싸락눈과 비가 오락가락 중인데 말이죠.한라산 모든 코스는 매일 입산 여부와 날씨 등 상황을 한라산국립공원 누리집에서 볼 수 있으니 한라산에 오를 때는 언제나 확인하고 올라야 합니다. 눈꽃 풍경은 한라산 정상 쪽보다 어리목~영실 선작지왓 코스가 아름답지만 폭설이 내린 후에는 백록담 코스가 풍성한 눈터널을 즐길 수 있죠. 그야말로 설국 풍경입니다. 폭설 내린 후 2~3일 후에 가면 공단에서 러셀도 해 놓아 안전하게 눈터널을 즐기며 산행할 수 있습니다.하지만, 한라산에 눈 왔다고 언제나 .. 2024. 11. 27. 꽃의 구조 / 꽃차례(화서) 그림 / 화서 종류 어제 잎의 구조에 이어 오늘은 꽃의 구조에 대해 알아보려 합니다. 꽃에 관련한 용어 역시 일본어에서 온 그대로가 대부분입니다. 일본어와 한자 세대가 우리나라 식물학을 시작했기 때문에 어쩔 수 없었겠지만 몇 세대가 지나도 거의 바뀌지 않는 것은 식물학계도 도제관계처럼 거스를 수 없는 관행이 있을 겁니다.식물에 대해 알고 싶은 일반인들은 기재문 보면서 도통 알 수 없는 단어들에 부딪힌 적이 있었을텐데요. 저도 궁금했던 것들을 이제야 자세히 알아보고 있습니다.한자를 배운 세대는 괄호안의 한자를 보면 이해가 빠를 것 같아 한자를 적어봤습니다.아래 글과 그림은 [식물분류학]-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문화원 출판/ 이병윤·김진석·정규영·김종환 공저-에서 대부분 가져왔고 한자는 제가 넣었습니다 꽃의 구조꽃은 꽃받침, 꽃.. 2024. 11. 26. 피자식물의 잎의 구조 상세 그림 : 잎의 배열 / 잎 가장자리 / 잎 모양 / 잎 끝 모양 / 잎 밑 모양 /복엽 종류 등에 따른 구분 식물 사진을 찍은 후 그 식물명을 확인하기 위해 기재문을 살피다 보면 온통 한자로 된 표현이라 한자 세대는 그런대로 의미를 유추하지만 한자 배우지 않은 이후 세대는 그 뜻을 알기 어려울 것이라 생각한다.한자어가 식물 용어로 정착한 것은 해방 이후 식물학자들이 일본에서 공부했거나 일본 학자에게서 배운 이력이 제일 큰 이유일 테고, 우리말로 길게 풀어쓰느니 함축된 한자어로 대신한 것도 있겠다. 나는 한자를 배웠고 한자 관련한 언어를 전공했기에 한자를 많이 아는 축에 들지만 그래도 이게 무슨 뜻이지 하는 낱말을 자주 마주치곤 한다. 식물 사진을 찍기 시작한 이후 그러한 한자어의 뜻을 정확히 알아야 할 필요를 느꼈는데 여태 미루다가 오늘은 잎에 관한 것을 정리해 본다.(아래 사진과 글은 한국방송통신대학교의 교.. 2024. 11. 25. 남미 원산의 닭벼슬나무 꽃을 온실 밖에서 본 적 있나요? 서귀포에서 본 닭벼슬나무 오늘 서귀포 대포포구 옆마을을 지나는데 길 건너 빨간 꽃이 눈에 띄더군요. 서귀포엔 지금 빨간 먼나무 열매가 지천이라 먼나무인가 했습니다. 그런데 다시 보니 수형도 그렇고 먼나무 열매보다 꽃잎이 커서 가까이 가서 본 순간, 떠오르는 이름, '닭벼슬나무'. 저도 이 나무는 처음 보는 건데 어디서 봤을까요, 이름이 특이해서 각인됐나 봐요. 집에 와서 확인하니 닭벼슬나무 맞네요. 이왕 검색한 김에 닭벼슬나무에 대해 자세히 기록해 둡니다.서울식물원, 국가표준식물목록, 여러 블로그를 참고하여 작성합니다. 닭벼슬나무서울식물원과 국가표준식물목록 참고해서 작성합니다. 구분 : 콩과 낙엽활엽 교목 과 / 속 : Fabaceae (콩과) / erythrina (닭벼슬나무속 )학명 : Erythrina crista-.. 2024. 11. 24. 이전 1 2 3 4 ··· 6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