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들꽃 산책22

탐라바위취 / 바위취 / 바위떡풀 / 참바위취 특징과 구별하는 방법 10월 중순, 제주 광령천에서 탐라바위취를 담았습니다.이제까지 본 바위취 종류와는 달리 꽃이 독특해서 바로 알아보기는 했습니다만 눈에 익지 않은 사람이라면 구별하기 어려웠을 겁니다.그날 광령천에서 마지막 꽃잎을 버티고 있는 바위떡풀, 5월에 피는 우리 집 마당의  바위취, 지리산에서 본 참바위취도 비슷한 모양이라 이 4종류를 구별하기 위해 각각의 특징과 구별법을 국가생물종지식시스템을 인용하여 정리해 봤습니다.아래 사진들은 제가 이제까지 담았던 것들입니다.탐라바위취학명 Saxifraga cortusifolia Siebold & Zucc. 장미목 / 범의귀과 / 바위떡풀속 (국가표준식물목록) 상록성 다년초 / 일본 고유종으로 알려졌으나 제주에서 발견됨높이 20~50cm개화 10월현재 국가생물종지식시스템에는 .. 2024. 11. 9.
창포, 석창포는 천남성과 / 꽃창포, 노랑꽃창포, 붓꽃은 붓꽃과 블로그를 보니 창포와 석창포, 꽃창포와 붓꽃을 구분 못한 채 확실한 정보인 것처럼 올리신 분들이 꽤 보인다.창포와 꽃창포는 분류되는 과도, 꽃도 전혀 다른데 이름만 가지고 짐작으로 같을 거라 생각하셨나 보다.간단하게 창포, 석창포, 꽃창포, 노랑꽃창포, 붓꽃의 잎과 꽃의 특징으로 그 차이점을 구분해 본다. 창포는 천남성과의 이삭꽃차례 [Acorus calamus L.] 창포는 연못, 저수지, 하천 등 습지에 사는 다년초 수생식물이다.잎은 땅속줄기에서 모여 나오며 길게 뻗는 선형으로 중앙맥이 뚜렷하다.꽃은 4~5월에 길게 나온 꽃줄기 끝에 길이 5~10cm 원기둥모양(이삭꽃차례)에 연한 황록색의 꽃이 빽빽하게 모여 달린다.석창포에 비해 잎에 뚜렷한 중앙맥이 있으며 꽃차례가 더 굵은 것이 특징이다. 석창포는.. 2024. 9. 9.
제주 자생난초 : 한라새둥지란[Neottia kiusiana T.Hashim. & Hatus.][Neottia hypocastanoptica]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에는 학명[Neottia kiusiana T.Hashim. & Hatus.]만 나오고 상세정보는 없어 두산백과 정보를 보고 작성한다.한라새둥지란을 일본의 것과 동일종으로 보는 견해에서는 학명을 [Neottia kiusiana]로 쓰기 때문에 학명을 두 개 적었다. 한라새둥지란난초과의 여러해살이 풀.우리나라에서는 남부지방의 활엽수림 아래 자생하고 일본에도 자생한다.5~6월 온몸이 상아색을 띠는 갈색으로 투명한 젤리 같은 모습으로 개화한다. 한라산에서 처음 발견되었고 뿌리가 새둥지란을 닮았다는 뜻으로 한라새둥지란.썩은 생물에서 양분을 얻는 부생란이다.    높이 6~15cm, 뿌리가 위를 향해 자라므로 주변에 많이 모여 난다.   잎은 3~4개가 어긋나기 하고 막질(투명한 젤 형태)이며.. 2024. 7. 9.
제주자생난초 : 두잎감자난초(Oreorchis patens (Lindl.) Lindl. subsp. coreana (Finet) Y.N.Lee) 잎이 보통 2개이고 뿌리가 감자처럼 생겼다고 해서 두잎감자난초라 이름붙였다. 영문 이름도 two-leaf oreorchis. 대체로 6월 중순부터 7월 초까지 꽃을 볼 수 있다. 얼마전까지 '한라감자난초'라고 불렀는데 지금은 두잎감자난초로 국명이 자리잡았다. 산림청 지정 희귀종, 국제 위기종두잎감자난초는 한국 특산 식물로 산림청 지정 희귀종이다. IUCN(International Union for Conservation of Nature, 세계자연보전연맹) 적색목록(Red List) 위기종 EN(Endangered)이기도 하다. 난초과의 여러해살이풀로 한국의 제주도에만 자생하는 여러해살이 식물. 제주도에서도 중산간의 곶자왈과 난대수림대의 계곡부 몇 곳으로 자생지를 추정하고 있다. 제주 곶자왈 지대가 개발.. 2024. 7. 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