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수목원 게시판에 실린 몽골식물도감 e-book에서 한반도에 자생하는 식물 359종을 캡처하여 모아놓은 것입니다. 양이 많아 모두 4편으로 작성했습니다. 한-몽골 공동연구팀의 총괄책임자이신 최혁재 교수님(창원대 생물학화학융합학부)께서 몽골식물도감 간행물을 보내주셔서 양쪽을 확인하면서 정리하니 쉽게 할 수 있었습니다. 감사드립니다.
ILLUSTRATED FLORA OF MONGOLIA(몽골식물도감)
산림청 국립수목원은 동아시아생물다양성보전네크워크(EABCN)와의 협력 사업으로 2015년부터 수행해 온 몽골식물조사 결과가 담긴 '몽골식물도감'을 2023년에 발간했습니다.
몽골식물도감은 몽골에 자생하는 1,159종의 몽골 자생식물의 형태적 특징과 사진, 분포지 정보를 싣고 있는데 수록된 사진과 형태적 정보는 국립식목원, 창원대학교 등 한국연구팀과 몽골국립대학교 연구팀이 2016년부터 직접 몽골의 전역을 조사하여 수집하고, 형태적 특성을 관찰하여 기재한 것입니다.
그동안 주로 중국의 연구 결과에 의존하던 몽골식물학 연구에 새로운 도약의 계기가 됐다는 평가를 받고 있답니다.
몽골식물도감이 갖는 의의
몽골은 한반도를 분포의 남쪽 끝으로 삼고 있는 식물과 고산식물인 한반도 북방계 식물의 분포가 이어지는 곳입니다. 특히 북한에만 자생하는 식물 170여 종류가 분포하고 있으며 그중 91종이 본 도감에 수록됐습니다.
이러한 북방계식물의 분포정보는 앞으로 기후온난화에 따른 한반도 식물다양성 보전에 있어 중요한 유전적 다양성을 유지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몽골식물도감 e-book 다운로드와 열람
국립수목원 누리집의 연구간행물 게시글에 몽골도감이 PDF 파일로 올려져 있습니다. 간행물은 지역 공립중앙도서관과 대학도서관 등에서 볼 수 있답니다.
도감은 영어로 설명하고 있고, 식물 이름은 몽골어가 기본, 한국 자생식물은 그 아래 한글로 표기했습니다.
몽골식물도감에 실린 한반도 자생식물 (No.301~ No.359)
몽골도감에는 약 350여 종의 한반도 자생식물이 실려 있는데 사진 양이 많아 네 파트로 나누어 작성합니다.
학명과 과명은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과 국가식물표준목록에서 복사하여 넣었고, 사진은 국립수목원의 e-book 도감에서 캡처한 것입니다.
사진 아래 넘버는 자생식물 순차이고, 그 옆에는 몽골도감의 페이지를 적었습니다.
제비고깔 Delphinium grandiflorum L. 미나리아재비과 (Ranunculaceae) |
나도마름아재비 Halerpestes salsuginosa (Pall. ex Georgi) Greene 미나리아재비과 (Ranunculaceae) |
![]() |
![]() |
No.301 / 몽골도감 p638 | No.302 / 몽골도감 p641 |
바디풀 Leptopyrum fumarioides (L.) Rchb. 미나리아재비과 (Ranunculaceae) |
물미나리아재비 Ranunculus gmelinii DC. 미나리아재비과 (Ranunculaceae) |
![]() |
![]() |
No.303 / 몽골도감 p642 | No.304 / 몽골도감 p646 |
북미나리아재비 Ranunculus natans C.A.Mey. 미나리아재비과 (Ranunculaceae) |
기는미나리아재비 Ranunculus repens L. 미나리아재비과 (Ranunculaceae) |
![]() |
![]() |
No.305 / 몽골도감 p647 | No.306 / 몽골도감 p649 |
개구리자리 Ranunculus sceleratus L. 미나리아재비과 (Ranunculaceae) |
꿩의다리 Thalictrum aquilegiifolium L. var. sibiricum Regel & Tiling 미나리아재비과 (Ranunculaceae) |
![]() |
![]() |
No.307 / 몽골도감 p651 | No.308 / 몽골도감 p652 |
꽃꿩의다리 Thalictrum petaloideum L. 미나리아재비과 (Ranunculaceae) |
긴잎꿩의다리 Thalictrum simplex L. var. brevipes H.Hara 미나리아재비과 (Ranunculaceae) |
![]() |
![]() |
No.309 / 몽골도감 p653 | No.310 / 몽골도감 p654 |
돌갈매나무 Rhamnus parvifolia Bunge 갈매나무과 (Rhamnaceae) |
짚신나물 Agrimonia pilosa Ledeb. 장미과 (Rosaceae) |
![]() |
![]() |
No.311 / 몽골도감 p657 | No.312 / 몽골도감 p658 |
좀낭아초 Chamaerhodos erecta (L.) Bunge 장미과 (Rosaceae) |
검은낭아초 Comarum palustre L. 장미과 (Rosaceae) |
![]() |
![]() |
No.313 / 몽골도감 p661 | No.314 / 몽골도감 p663 |
아광나무 Crataegus maximowiczii C.K.Schneid. 장미과 (Rosaceae) |
물싸리 Dasiphora fruticosa (L.) Rydb. 장미과 (Rosaceae) |
![]() |
![]() |
No.315 / 몽골도감 p664 | No.316 / 몽골도감 p665 |
단풍터리풀 Filipendula palmata (Pall.) Maxim. 장미과 (Rosaceae) |
땃딸기 Fragaria mandshurica Staudt 장미과 (Rosaceae) |
![]() |
![]() |
No.317 / 몽골도감 p669 | No.318 / 몽골도감 p670 |
큰뱀무 Geum aleppicum Jacq. 장미과 (Rosaceae) |
야광나무 Malus baccata (L.) Borkh. 장미과 (Rosaceae) |
![]() |
![]() |
No.319 / 몽골도감 p670 | No.320 / 몽골도감 p672 |
양지꽃 Potentilla fragarioides L. var. major Maxim. 장미과 (Rosaceae) |
귀룽나무 Prunus padus L. 장미과 (Rosaceae) |
![]() |
![]() |
No.321 / 몽골도감 p678 | No.322 / 몽골도감 p685 |
시베리아살구 Prunus sibirica L. 장미과 (Rosaceae) |
인가목 Rosa acicularis Lindl. 장미과 (Rosaceae) |
![]() |
![]() |
No.323 / 몽골도감 p686 | No.324 / 몽골도감 p687 |
생열귀나무 Rosa davurica Pall. 장미과 (Rosaceae) |
함경딸기 Rubus arcticus L. 장미과 (Rosaceae) |
![]() |
![]() |
No.325 / 몽골도감 p690 | No.326 / 몽골도감 p693 |
멍덕딸기 Rubus idaeus L. subsp. melanolasius Focke 장미과 (Rosaceae) |
오이풀 Sanguisorba officinalis L. 장미과 (Rosaceae) |
![]() |
![]() |
No.327 / 몽골도감 p694 | No.328 / 몽골도감 p696 |
너도양지꽃 Sibbaldia procumbens L. 장미과 (Rosaceae) |
긴잎조팝나무 Spiraea media Schmidt 장미과 (Rosaceae) |
![]() |
![]() |
No.329 / 몽골도감 p696 | No.330 / 몽골도감 p699 |
꼬리조팝나무 Spiraea salicifolia L. 장미과 (Rosaceae) |
긴잎갈퀴 Galium boreale L. 꼭두서니과 (Rubiaceae) |
![]() |
![]() |
No.331 / 몽골도감 p700 | No.332 / 몽골도감 p701 |
큰잎갈퀴 Galium dahuricum Turcz. ex Ledeb. 꼭두서니과 (Rubiaceae) |
갈퀴덩굴 Galium spurium L. var. echinospermum (Wallr.) Desp. 꼭두서니과 (Rubiaceae) |
![]() |
![]() |
No.333 / 몽골도감 p701 | No.334 / 몽골도감 p702 |
솔나물 Galium verum L. subsp. asiaticum (Nakai) T.Yamaz. 꼭두서니과 (Rubiaceae) |
갈퀴꼭두서니 Rubia cordifolia L. 꼭두서니과 (Rubiaceae) |
![]() |
![]() |
No.335 / 몽골도감 p702 | No.336 / 몽골도감 p703 |
매자잎버들 Salix berberifolia Pall. 버드나무과 (Salicaceae) |
돌부채 Bergenia crassifolia (L.) Fritsch 범의귀과 (Saxifragaceae) |
![]() |
![]() |
No.337 / 몽골도감 p705 | No.338 / 몽골도감 p708 |
시베리아괭이눈 Chrysosplenium serreanum Hand.-Mazz. 범의귀과 (Saxifragaceae) |
씨눈바위취 Saxifraga cernua L. 범의귀과 (Saxifragaceae) |
![]() |
![]() |
No.339 / 몽골도감 p709 | No.340 / 몽골도감 p712 |
등포풀 Limosella aquatica L. 현삼과 (Scrophulariaceae) |
사리풀 Hyoscyamus niger L. 가지과 (Solanaceae) |
![]() |
![]() |
No.341 / 몽골도감 p716 | No.342 / 몽골도감 p717 |
피뿌리풀 Stellera chamaejasme L. 팥꽃나무과 (Thymelaeaceae) |
숙은꽃장포 Tofieldia coccinea Richardson 앵글러 - 백합과 (Liliaceae) APG Ⅳ- 꽃장포과 (Tofieldiaceae) |
![]() |
![]() |
No.343 / 몽골도감 p723 | No.344 / 몽골도감 p724 |
애기부들 Typha angustifolia L. 부들과 (Typhaceae) |
큰잎부들 Typha latifolia L. 부들과 (Typhaceae) |
![]() |
![]() |
No.345 / 몽골도감 p725 | No.346 / 몽골도감 p725 |
꼬마부들 Typha laxmannii Lepech. 부들과 (Typhaceae) |
왕느릅나무 Ulmus macrocarpa Hance 느릅나무과 (Ulmaceae) |
![]() |
![]() |
No.347 / 몽골도감 p726 | No.348 / 몽골도감 p726 |
비술나무 Ulmus pumila L. 느릅나무과 (Ulmaceae) |
가는잎쐐기풀 Urtica angustifolia Fisch. ex Hornem. 쐐기풀과 (Urticaceae) |
![]() |
![]() |
No.349 / 몽골도감 p727 | No.350 / 몽골도감 p728 |
졸방제비꽃 Viola acuminata Ledeb. 제비꽃과 (Violaceae) |
장백제비꽃 Viola biflora L. 제비꽃과 (Violaceae) |
![]() |
![]() |
No.351 / 몽골도감 p729 | No.352 / 몽골도감 p731 |
손잎제비꽃 Viola dactyloides Schult. 제비꽃과 (Violaceae) |
간도제비꽃 Viola dissecta Ledeb. 제비꽃과 (Violaceae) |
![]() |
![]() |
No.353 / 몽골도감 p731 | No.354 / 몽골도감 p732 |
누운제비꽃 Viola epipsiloides A.Löve & D.Löve 제비꽃과 (Violaceae) |
흰제비꽃 Viola patrinii DC. ex Ging. 제비꽃과 (Violaceae) |
![]() |
![]() |
No.355 / 몽골도감 p732 | No.356 / 몽골도감 p733 |
왜졸방제비꽃 Viola sacchalinensis H.Boissieu 제비꽃과 (Violaceae) |
알록제비꽃 Viola variegata Fisch. ex Link 제비꽃과 (Violaceae) |
![]() |
![]() |
No.357 / 몽골도감 p734 | No.358 / 몽골도감 p735 |
남가새 Tribulus terrestris L. 남가새과(Zygophyllaceae) |
![]() |
No.359 / 몽골도감 p736 |
이상, 몽골식물도감에 실린 한반도의 식물 359종을 모두 모았습니다.
※ p121의 무산상자는 무산상자가 아니라 '전호'라고 최혁재교수님이 알려주셨으니 358종인 셈입니다.
※ No.344 숙은꽃장포는 몽골도감에는 '숙은꽃창포'로 기재되어 있는데 철자 오류라고 합니다.
처음 시도할 때는 분포지와 생육환경을 같이 표기하려 했으나 양이 방대해질 것 같아 지금의 것으로 간단히 정리했습니다. 혹시 몽골 여행 중에 만난 꽃 중에 우리나라에서 본 꽃이 있다면 제 포스팅에서 찾아보시고 정확한 이름을 알 수 있다면 작은 보람이 되겠습니다.
'몽골에서 보는 한반도 자생식물 3편 (몽골식물도감 No.201~No.300'을 링크합니다.
몽골에서 보는 한반도 자생식물 3편 (몽골식물도감 No.201~No.300)
국립수목원 게시판에 실린 몽골식물도감 e-book에서 한반도에 자생하는 식물 359종을 캡처하여 모아놓은 것입니다. 양이 많아 모두 4편으로 작성했습니다. 한-몽골 공동연구팀의 총괄책임자이신
jejusopoong.tistory.com
몽골식물도감에서 보는 한반도 자생식물 인덱스 편을 작성했으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몽골식물도감에서 보는 한반도 자생식물 1편~4편 인덱스(과명으로 찾아보기) / 몽골식물도감 한
골식물도감(Illustrated Flora of Mongolia)은 760쪽에 이르는 방대한 양입니다. 455속(genere), 100과(families), 1,159종의 식물 사진이 수록되어 있습니다.그중, 한반도에 자생하는 359종의 식물이 수록됐는데 사
jejusopoong.tistory.com
'들꽃 산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몽골식물도감에서 보는 한반도 자생식물 1편~4편 인덱스(과명으로 찾아보기) / 몽골식물도감 한글 자음 인덱스 (0) | 2025.02.15 |
---|---|
몽골에서 보는 한반도 자생식물 3편 (몽골식물도감 No.201~No.300) (0) | 2025.02.02 |
몽골에서 보는 한반도 자생식물 2편 (몽골식물도감 No.101~No.200) (0) | 2025.01.27 |
몽골에서 보는 한반도 자생식물 1편 (몽골식물도감 No.1 ~No.100) (0) | 2025.01.21 |
아기쌍잎난초 : 국내 난초 중 가장 작은 난초 (1) | 2025.01.07 |
한라옥잠난초(제주)와 옥잠난초의 구분 (1) | 2025.01.02 |
열매의 종류 / 종자(씨)의 종류 / 피자식물 / 나자식물 /구과식물 (1) | 2024.12.31 |
꽃의 구조 / 꽃차례(화서) 그림 / 화서 종류 (4) | 2024.11.26 |
댓글